영국발 변이바이러스 국내유입 첫 확인
□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 코로나19 환자 검체 1,640건*에 대한 바이러스 유전자 염기서열 추가 분석 결과 및 영국 發 입국자에서 코로나19 영국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된 상황을 설명하였다.
* 1.20일 이후 누적 : 1,640건 (국내발생 1,303건, 해외유입 337건)
○ 국내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 결과, 4월까지는 S, V 그룹이 다수 확인되었으나, 5월 이후 최근까지 GH 그룹에 속하는 바이러스가 주로 검출되고 있으며, 11월 중 분석된 바이러스 134건도 모두 GH 그룹으로 해당 그룹이 국내 우세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.
○ 또한 영국 發 입국 코로나19 확진자 검체에 대한 전장유전체 분석 중 12월 22일 입국한 3명*의 검체에서 영국 변이 바이러스**가 확인됐다.
* 영국 런던 거주 가족으로 입국 시 검역과정에서 실시한 검사결과 확진되어 격리 중임
** 스파이크 단백질의 다중 돌연변이를 주된 특징으로 하며, 숙주세포수용체결합부위 (RBD)인 501번째 아미노산 변이와 69-70번째 아미노산 결실, 145번째 아미노산 결실 등을 나타냄
- 영국 정부는 변이 바이러스 전파력이 기존 바이러스에 비해 빠른 것으로 평가하였으며, WHO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감시강화 권고와 임상중증도 및 백신효능 등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발표하였다.
○ 이에 영국 등 해외에서 유입되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을 철저히 감시하기 위해 해외입국자에 대한 방역조치를 강화하여,
- 영국 등 변이 바이러스 발생 국가 입국자 중 확진자에 대해서는 전장유전체 분석(NGS, Next Generation Sequencing)을 실시하여 변이 바이러스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.
□ 영국·남아공 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 차단을 위해 동 국가에서 출발하는 모든 입국자 대상, 강화된 검역조치를 기 시행* 중에 있는 바,
* (주요내용) 발열기준 강화(37.5℃→37.3℃), 격리해제 전 입국자 전수 추가 진단검사 실시, 영국 發 항공편 입국 한시적 중단(12.23∼31) 등
○ 국내에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발견됨에 따라 해당 국가들에 한 단계 더 강화된 방역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.
- 현재 시행 중인 영국 發 항공편 운항 중단은 1주일 연장(~’21.1.7.)하되, 향후 추이를 점검하며 운항 중단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.
- 영국·남아공 發 입국자(경유자 포함)에 대해 ‘PCR 음성확인서’ 제출을 의무화하고 제출 대상을 내국인을 포함한 모든 입국자로 확대할 계획이다.
- 외교․공무, 인도적 사유 이외의 신규비자 발급은 중단되며,
- 영국 發 입국자는 기존 격리면제서 발급제한 기간(12.23~31)을 한시적으로 연장(~’21.1.17)하며, 남아공 發 입국자에 대해서도 격리면제서 발급제한을 함께 적용할 예정이다.
○ 아울러 영국 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영국뿐만 아니라 타 국가에서도 발견되고 있기 때문에 해외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입국자를 대상으로 격리해제 전 추가적인 진단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.
<붙임4 영국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>
□ 영국 변이 바이러스 (VOC-202012/01)
○ 영국 남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유행 사례 조사 중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(VOC-202012/01) 발생 보고(12.15. 영국 보건부)
- (영국)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력이 최대 70% 높을 것으로 평가*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격상(12.20.)
* 영국 신변종호흡기 위해 자문위원회(New and Emerging Respiratory Virus Threats Advisory Group, NERVTAG) 검토
- (WHO) 영국 NERVTG의 논의사항 인용하며 감시강화* 권고, 임상증상, 진단, 치료, 백신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영국과 공동연구 수행
- 호주, 덴마크, 네덜란드, 이스라엘, 일본 등 동일 변이 바이러스 확인
* 유럽 및 캐나다, 이스라엘, 쿠웨이트, 홍콩 등 영국대상 입국제한 조치
○ (WHO GISAID) 변이 특성 분석
- N501Y, HV69-70 결실, Y145 결실 등이 바이러스 구조 및 기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평가
* 숙주세포수용체(RBD) 및 항체 결합 영향 가능성
-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력, 질병 중증도, 항체반응, 백신효과 등은 추가 조사·연구 필요
유전자 |
변이 아미노산 |
ORF1ab |
T1001I, A1708D, I2230T, SGF3675-3677 결실 |
Spike |
HV69-70 결실, Y145 결실, N501Y, A570D, P681H, T716I, S982A, D1118H |
ORF8 |
Q27Stop, R52I, Y73C |
N |
D3L, S235F |
www.korea.kr/news/policyNewsView.do?newsId=148881723&pWise=sub&pWiseSub=B12
'코로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도권 및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(2021년 1월 4일 ~ 17일) (0) | 2021.01.04 |
---|---|
사회적 거리두기 1월17일까지 2주간 연장 (0) | 2021.01.02 |
수도권 거리두기 2.5단계 및 비수도권 2단계 조치 연장(21년 1월 3일까지) (0) | 2020.12.28 |
통계청에서 제공하는 '코로나 상황판' 알아보기 (0) | 2020.12.24 |
경기도 긴급의료 지원인력 모집 (0) | 2020.12.23 |
댓글